본문 바로가기
IT

네이버 블로그 운영시 유용한 글자수세기, 맞춤법검사기

by 화비 2023. 3. 10.
반응형

안녕하세요. IT 블로거 화비입니다.

나만의 기록을 남기고 싶어서 시작한 일상 블로그가 어느덧 한 분야를 가지고 전문적인 블로그를 키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을 겁니다.

그러다 보면 블로그에 조금 더 신경이 가게 되는데요. 아주 기본적으로 꼭 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.

 

글자 수 세기, 맞춤법검사

포스팅의 질을 올려야 블로그가 점점 커지게 되는데요.

처음에는 정말 아무거나 다 올렸다면 블로그를 키우려고 마음먹었을 때는 잡블로그보다 전문성을 띠고 싶어 합니다.

대부분 포스팅은 최소 1,000자 이상 작성하라고 하는데요.

내가 얼마나 적었는지 궁금할 때는 [글자 수 세기]를 이용해서 알 수 있습니다.

 

그리고 맞춤법 또한 아주 중요하겠죠? 맞춤법은 각 블로그마다 기능이 있지만 네이버를 통해서 맞춤법 검사를 할 경우 한 번에 바로 수정이 가능하기도 합니다.

 

 

꼭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는 목적이 아니어도 어딘가에 자료를 제출해야 할 때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 

 


 

글자 수 세기

우선 글자 수 세기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네이버 검색창에 [글자 수 세기]라고 검색하면 바로 이런 창이 뜹니다.

포스팅을 발행하기 전 전체 글자수를 복사해서 붙여 넣으면 몇 자를 작성했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.

 

 

글자 수 세기는 공백포함과 공백제외로도 나뉘는데요.

저는 공백제외로 해서 최소 1,000자 이상으로 평균적으로 글을 작성합니다.

 

 

 

 

맞춤법검사기

맞춤법 검사기는 사실 제가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아니지만 블로그 대문을 꾸미거나 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.

또는 덧글을 남길 때 사용하는 데요. 해당 기능을 이용하려면 네이버 검색창에 [맞춤법검사기]라고 검색하면 나옵니다.

 

그리고 맞춤법 검사를 하고 싶은 글을 적은 후 [검사하기]를 클릭합니다.

 

검사하기를 클릭하면 교정된 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❤️ 색 : 맞춤법
  • 💚 색 : 띄어쓰기
  • 💜 색 : 표준어 의심

색깔별로 교정을 해주는데요. 제가 작성한 글은 띄어쓰기만 잘못되어 교정이 되었습니다.

 

 

 

 

이 글을 마치며

이렇게 블로그를 하는데 있어 아주 기본적인 기능인 글자 수 세기와 맞춤법 검사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
 

반응형